분류 전체보기 25

북유럽 르네상스

15세기 이탈리아가 꽃피던 시절 옛 네덜란드, 독일 등 알프스 산맥 북쪽 지역도 새로운 예술이 나타났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같은 시기에 나타났기에 북유럽 르네상스라고 구별한다.북유럽이란 알프스 산맥을 기준으로 북쪽 전체 지역을 일컫는다. 북유럽 르네상스가 시작할 무렵 옛 네덜란드 지역은 프랑스 발루아 가문의 부르고뉴 공작이 다스리는 부르고뉴 공국에 속해 있음 15세기 북유럽 르네상스 미술은 네덜란드 회화를 지칭한다. 유럽 르네상스에도 문예부흥을 의미하는 르네상스라는 명칭을 쓰고 있지만 중세고딕의 신 중심적인 정신세계를 계승하고 있다는 점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구분된다. 15,16세기 옛 네덜란드 지역은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으로 미술사뿐 아니라 유럽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특히 벨기에 서부를..

미술사 2024.06.25

15세기 후반 미술

피렌체 화가 파올로 우첼로( 파올로 우첼로(Paolo Uccello, 1397년∼1475년)는 이탈리아의 화가이다. 원근법의 연구에 몰두한 우첼로는 마사초의 후계자, 또는 원근법의 발명자라고 불리는데, 실제로는 오히려 시적 환상의 세계를 그리고 있으며, 화려한 색반(色斑)과 풍부한 금을 사용하여 장식적 효과를 높이는 고딕의 전통에 살아온 작가라고 말하는 편이 정확하다.) 작품중 가장 보존이 잘된 것은 영국국립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전쟁의 한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피렌체 상인 중 가장 권력 있고 부유한 메디치 가의 대저택 실내 복판에 걸도록 제작된 것인데 피렌체의 역사에 나오는 일화를  그린 것인데 그 이야기는 그림이 걸렸던 당시도 화제였다. 피렌체 군대가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와 벌였던 전투 중의 하나..

미술사 2024.06.25

15세기 후반 이탈리아 2

새롭고 혁명적인 방법들은 재래의 인습적인 주문과 충돌할 때가 많았다.건축의 경우에서 예를 들어 브루넬레스킹 생각은 그가 로마 유적에서 복제한 원주, 박공, 처마 장식띠와 같은 고전적인 건축 형식들을 도입하려는 것이었다.그는 교회 건물에 이런 형식들을 응용했다. 그의 후계자들은 이런 점에서 그를 모방하려고 애썼다. 피렌체의 건축가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설계한 교회인데, 그는 이 교회의 정면을 로마 풍의 거대한 개선문처럼 구상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방침을 도시의 일반적인 주택에는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 로마 시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개인주택은 하나도 없고 생활상의 필요와 관습이 변하기도 하여 별로 도움이 될 것 같지 않다. 그러므로 문제는 벽과 창문을 가진 재래의 집과 브루넬레스키 건축가들에게 사용..

미술사 2024.06.20

15세기 후반 이탈리아

15세기 초 이탈리아와 플랑드르의 미술가들이 이룩한 새로운 발견들은 유럽 전역 파문을 일으켰다.화가들과 그 후원자들은 다 같이 미술을 성경의 이야기를 감동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데에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 현실 세계의 한 단면을 거울처럼 반영하는 데도 이용할 수 있다는 생각에 매혹되었다. 아마도 미술에 있어 이 거대한 혁명의 가장 직접적인 결과는 모든 곳의 미술가들이 새롭고 놀라운 효과를 얻기 위해 실험과 탐구를 시작했다는 것이다.15세기의 미술을 사로잡았던 이 모험 정신은 중세와 진정한 단절의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물론 민족적인 차이는 중세 전반을 통해 존재하고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보면 이 차이점이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다. 중세 학자들은 모두 라틴어를 말하고 쓸 줄 알았으며 그들이 파리 대학에서 가르..

미술사 2024.06.20

15세기 초 / 원근법

원근법의 새로운 기술은 현실의 환상을 더욱 가중시켰다. 도나텔로는 다음과 같이 자문하는 것으로 시작했을 것이다. '성인의 머리를 방 안으로 가져왔을 때의 정경을 어떠했을까' 그는 최선을 하해 그런 사건이 일어났음직한 건물로 고전적인 궁전을 그렸고 배경에 있는 인물들을 위해 로마 시대 유형의 인물들을 선택했다. 그 다시 도나텔로는 브루넬레스키와 마찬가지로 미술을 재생시키는데 도움을 얻기 위해 로마의 유적들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로마 미술에 관한 이런 연구가 미술의 재생, 즉 '르네상스'를 발생시킨 것은 아니다. 오히려 브루넬레스키 주변의 미술가들은 미술의 부활을 너무나 열렬히 갈망했기 때문에 그들의 새로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연과 과학과 고대의 유물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과학과 고전미술에 관한 전문적인..

미술사 2024.06.20

브루넬레스키

브루넬레스키는 르네상스 건축의 창시자만으로 그치지 않았다. 미술의 영역에 있어 또 하나의 획기적인 발견으로 그 뒤 수백 년간 미술을 지배했던 원근법의 발견은 그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짐작된다. 단축법을 이해했던 그리스 미술가들이나 공간의 깊이를 능숙하게 표현했던 헬레니즘 미술가들조차도 물체가 뒤로 물러갈수록 수학적인 법칙에 따라 그 크기가 작아진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 고전기의 미술가들 중에 가로수가 늘어서 있는 길이 지평선 상의 한 점으로 사라지게 그릴 수 있는 사람은 하나도 없었다. 미술가들에게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제공해 준 사람이 바로 브루넬레스키였다. 이것이 그의 화가 친구들에게 불러일으킨 흥분은 엄청났을 것이다. 이러한 수학적인 법칙에 근거하여 그려진 최초의 그림 중 하나는 마사초 이다...

미술사 2024.06.19

15세기

현실성의 정복, 르네상스라는 말은 재생 또는 부활을 의미한다. 이러한 재생이라는 관념이 이탈리아에서 확고한 기반을 가지게 된 것은 조토시대 이후의 일이었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시인이나 화가를 칭찬하고 싶을 때는 그의 작품이 고대의 것만큼 훌륭하다고 말했다. 조토는 이런 식으로 미술의 진정한 부활을 유도해 낸 거장으로 칭송되었다. 즉 당시의 사람들은 그의 미술이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저술가들이 칭송했던 고대의 유명한 거장들의 걸작만큼 훌륭하다는 의미에서 이런 찬사를 보냈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이 이탈리아에서 널리 유행하게 되었다는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탈리아 인들은 먼 옛날에는 로마를 수도로 한 자신들의 나라가 문명 세게의 중심이었는데, 고트 족과 반달 족 같은 게르만 종족이 침입해 와서 로..

미술사 2024.06.19

14세기 귀족과 시민

14세기 취향은 장대한 것보다는 세련된 것을 추구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시기의 건축을 통해 분명하게 드러난다. 영국에서는 소위 '초기 영국양식'이라 알려진 초기 대성당들의 순수한 고딕 양식과 이런 형식들이 발전하여 그 후에 생긴 소위'장식적 양식'이라고 알려진 것으로 구분된다. 그 명칭 자체가 취향의 변화를 말해준다. 14세기의 고딕 양식 건축가들은 벌써 초기 성당의 분명하고 장엄한 외관에만 만족하지 않고 장식과 복잡한 트레이서리를 통해서 그들의 솜씨를 과시하고자 했다. 엑서터 대성당의 서쪽 창문이 이 양식의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교회를 짓는 일이 더 이상 건축가들의 주된 과업은 아니었다. 나날이 발전하고 번창하는 도시에서는 시청 청사라든가 조합 사무실, 대학, 궁전, 다리와 성문 등 과 ..

미술사 2024.06.19

13세기 교회

아를 성당을 지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미술가는 성인들의 상을 건문의 구조에 딱 들어맞는 단단한 기둥처럼 보이게 만들었지만 샤르트르 대성당의 북쪽식의 미술가는 성상들을 하나하나 살아 있는 듯이 묘사했다. 그 성상들은 금방이라도 움직일 듯이 서로를 쳐다보고 있다. 그들이 두르고 있는 옷주름의 흐림도 그 밑에 살아 있는 육체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암시해주고 있다. 조각상들은 성인들의 개별적인 특징을 분명하게 표시학 ㅗ있기 때문에 구약 성경을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그 것이 누구의 상인지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우리는 아들을 제물로 바치려고 앞에 세우고 있는 늙은 사람이 아브라함임을 어렵지 않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모세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십계명이 새겨진 명판과 이스라엘 사람들을 구하는 ..

미술사 2024.06.18

13세기 : 교회의 승리

미술가들이 교회에 궁륭천장을 만들어 새롭고 장엄한 방식으로 그들의 조각상을 배치하는 데 성공하자마자 또 다른 참신한 이념이 노르만과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들을 볼품없는 구식으로 만들어버렸다. 그 새로운 이념은 프랑스 북부에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바로 고딕 양식의 원리였다. 처음에는 사람들이 이것을 단지 기술적인 혁신으로 생각했을지 모르지만 사실상 결과는 그 이상의 것이었따. 서로 교차하는 아치를 이용하여 교회의 둥근 천장을 만드는 방법은 노르만 건축가들이 꿈꾸었던 것 이상으로 일관성 있고보다 훙륭한 건축의 실현을 가능케 하는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만일 기둥들이 또 다른 석조로 메워져 있는 궁륭의 아치를 지탱할 수 있다면 기둥들 사이의 육중한 벽들은 모두 불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건물 전체를 떠받..

미술사 2024.06.18